보수진영 난색…"정치권 앞서가면 부작용 초래"

  • 한국당·바른미래 정명운동에 '난색'
  • "국민적 토론과 논의 필요해"
  • "정치권에서 앞장 설 문제 아니야"
info
입력 : 2019-01-07 18:55
수정 : 2019-01-07 18:55
프린트
글자 크기 작게
글자 크기 크게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7월 3일 서울 중구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당‧정‧청을 중심으로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꾸자는 움직임에 대해 보수진영은 "너무 앞서 나간다"는 입장이다. 

7일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른바 정부와 민주당이 추진하는 정명운동에 대해 “정치권에서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꾸자는 이야기는 할 수 있다”면서도 “정치권에서 너무 앞서가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시민사회나 학계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윤 수석대변인은 ‘민주당이 3‧1운동 정통성을 계승한 유일한 정당’이라는 주장에 대해 “(민주당이) 그렇게 이야기할 수는 있다”며 “거기에 대해서 뭐라고 할 말은 없다”고 했다.

바른미래당도 정명운동에 난색을 표했다. 지난달 12일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3‧1운동 100주년을 남북이 성대하게 기념하자면서 불과 3개월 남겨놓고서 중요한 용어 개명을 들고나오는 모습이 스스로 준비가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 같아 아쉽다”며 “국민의 이해를 돕는 토론과 논의가 시급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보수성향 변호사들의 모임인 ‘한반도인권통일 변호사모임(한변)’ 대표 김태훈 변호사는 “1919년에는 나라가 없었기 때문에 독립운동을 한 것인데 이게 혁명이 맞는지 모르겠다”며 “독립운동과 혁명은 별개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진보진영은 단순히 정명운동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1919년 이후 대한민국 100년의 의미를 새롭게 다지고 포용국가로 나아가자는 주장을 펼쳤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정치권에서 새로운 차원에서 3‧1운동을 조명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다”면서도 “3‧1운동을 3‧1혁명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더 적절하고, 이후에 계승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번 정명운동이 민주당의 장기집권 플랜과 관련이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장기집권 플랜과는 관련이 없다고 본다”며 “다만, 3‧1운동을 3‧1혁명이라고 했을 때 위상이 달라지는 것인지에 대해선 생각해 볼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정명운동은 보수와 진보의 갈등 중 하나인 ‘건국절 논란’과도 맞닿아 있다. 보수진영은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절로 보지만, 진보진영은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 13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민주당은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꾸는 동시에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강화해 궁극적으로 1919년을 건국절로 만든다는 계산이다. 다만, 문재인 대통령은 소모적 논란을 피하고자 ‘건국 100주년’ 표현은 쓰지 않기로 했다. 

당·정·청이 건국절 이슈를 강하게 부각시킬 경우 보수진영과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태훈 변호사는 “건국은 1948년 8월 15일 한 것”이라며 “1919년에 나라가 있지도 않은데 건국절로 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했다.
후원계좌안내
입금은행 : 신한은행
예금주 : 주식회사 아주로앤피
계좌번호 : 140-013-521460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